데이터
이진수와 2의 보수
컴퓨터는 어떻게 0과 1 즉 이진수로 양수, 음수, 소수, 문자를 표현할 수 있을까?
양수는 이진수로, 음수는 2의 보수로 소수는 부동소수점으로 문자는 문자집합과 인코딩으로 이해한다.
이진법(이진수)
- 이진법은 0과 1로 모든 수를 표기하는 방법이다.
- 이진수는 0과 1만으로 표현된 수이다.
- 1을 넘어가는 시점에 자리올림을 한다.
- 단점: 숫자가 너무 길어진다!

십육진법(십육진수)
- 십육진법: 1~9과 A~F로 모든 수를 표기하는 방법
- A==10, B==11, C==12, D==13, E==14, F==15
- 15(F)을 넘어가는 시점에 자리올림!
- 십진수말고 십육진수를 사용하는이유는 이진수와 십육진수의 변환이 편한다.
2의 보수법
- 0과 1만으로 음수를 표현하는 방법 중 하나
- 어떤 수 n을 그보다 큰 2^n에서 뺀 값
- 11의 2의 보수는 100에서 뺀 01